Docker로 n8n 설치하기: 로컬 자동화의 가장 쉬운 방법
n8n은 노코드 기반의 오픈소스 자동화 툴로,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연결해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플랫폼입니다. n8n을 설치하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는 바로 Docker를 이용한 설치입니다.
Docker는 복잡한 설치 과정을 줄이고, 몇 줄의 명령어만으로도 완전한 n8n 환경을 로컬에 구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. 이 글에서는 Docker를 활용한 n8n 설치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드리겠습니다.
1. Docker 설치 및 확인
n8n을 Docker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Docker Desktop을 설치해야 합니다.
설치 링크:
설치 후 확인:
docker --version
docker compose version
위 명령어로 Docker가 정상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2. n8n Docker 컨테이너 실행 명령어
아래 명령어는 n8n을 Docker로 빠르게 실행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. 이 명령어는 n8n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,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 가능하게 합니다.
docker run -it --rm \
-p 5678:5678 \
-v ~/.n8n:/home/node/.n8n \
n8nio/n8n
명령어 설명:
-p 5678:5678
: 호스트의 5678 포트를 컨테이너와 연결-v ~/.n8n:/home/node/.n8n
: 설정 및 워크플로 데이터가 저장될 디렉토리 마운트--rm
: 컨테이너 종료 시 자동 삭제 (테스트용)
브라우저에서 http://localhost:5678에 접속하면 n8n UI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3. 지속적인 실행을 위한 Docker Compose 사용
Docker Compose를 사용하면 n8n을 재시작 시에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docker-compose.yml
예시입니다:
version: "3"
services:
n8n:
image: n8nio/n8n
ports:
- "5678:5678"
volumes:
- ~/.n8n:/home/node/.n8n
restart: always
environment:
- TZ=Asia/Seoul
- N8N_BASIC_AUTH_ACTIVE=true
- N8N_BASIC_AUTH_USER=admin
- N8N_BASIC_AUTH_PASSWORD=1234
실행 방법:
docker compose up -d
이제 n8n이 항상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, 인증 로그인도 활성화됩니다.
http://localhost:5678
에 접속 시 로그인 창이 나타나며, 입력한 사용자명/비밀번호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.
4. 데이터 영속성 유지하기
위 명령어에서 사용한 ~/.n8n
디렉토리는 n8n의 설정 및 워크플로가 저장되는 공간입니다. 이 디렉토리를 백업하거나 Git으로 버전 관리를 해두면 워크플로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습니다.
5. 포트 충돌 시 해결 방법
다른 앱이 이미 5678 포트를 사용 중이라면, 포트를 변경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:
docker run -it --rm \
-p 8080:5678 \
-v ~/.n8n:/home/node/.n8n \
n8nio/n8n
이렇게 하면 http://localhost:8080
에서 n8n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6. 설치 후 확인 및 첫 실행 체크리스트
- 브라우저 접속: http://localhost:5678
- UI가 로딩되면 정상 설치 완료
- 워크플로 생성 테스트 진행
- 설정 저장 디렉토리(
~/.n8n
) 생성 여부 확인
이제 Docker로 n8n 자동화, 완벽하게 준비 완료!
Docker는 시스템 설정을 복잡하게 건드리지 않고도 가장 안정적으로 n8n을 로컬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 특히 개발자뿐만 아니라, 자동화에 처음 입문하는 사용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이제 n8n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해 Slack 알림, Google Sheets 연동, 이메일 발송 자동화 등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워크플로를 직접 구성해보세요. 다음 강의에서는 n8n 첫 워크플로를 만드는 방법을 실제 예제와 함께 소개합니다!